giraffe giraffe giraffe giraffe
몸과 마음을 함께 치료해 드립니다.

박원장의 건강칼럼

제목

트라우마와 PTSD의 뜻과 검사, 증상 및 치료

작년 여름부터 가을까지 온오프라인에 걸쳐 '트라우마 한의 일차진료 전문인력 양성 프로그램'에 참여한 일이 있었습니다. 오늘은 그때 교육받은 내용을 바탕으로 트라우마와 PTSD의 뜻, 그리고 치료에 대한 내용들을 다뤄 보겠습니다.

 

트라우마란 실제적이거나 위협적인 죽음, 심각한 질병 혹은 자신이나 타인의 신체적(물리적) 위협이 되는 사건을 경험하거나 목격한 후 겪는 심리적 외상으로, 신체적 외상과 정신적 외상으로 구분할 수 있으나 일반적으로 '트라우마'라는 용어는 정신적 외상을 의미합니다.

 

PTSD는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의 줄임말로 우리말로는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라고 하며, 전쟁 경험, 아동기의 성적 혹은 신체적 학대, 어린 시절의 심리적 상처, 테러, 성적 혹은 신체적 공격, 교통사고 등의 심한 사고, 화재, 태풍, 홍수, 쓰나미, 지진 등의 자연재해와 같이 생명이 위태로울 정도의 큰 트라우마나 반복적으로 경험하는 복합성 트라우마로 인해 발생하는 심리적 반응입니다. 국가트라우마센터에서는 트라우마 사건으로 인한 불편감이 한 달 이상 지속되고, 주관적인 고통이 심하며, 일상생활에 지장을 주는 경우 PTSD라고 규정하고 있는데, 그 진단기준은 다음과 같습니다.

 

 

 

 

1. 침습

침습은 트라우마 사건과 관련된 기억이 불쾌하게 반복적으로 떠오르는 현상으로, 침습 반응은 뇌가 일어나 일을 곱씹어 이해하고 소화하려는 시도입니다. 악몽을 꾸거나 극단적으로는 사건이 다시 일어난 것처럼 느끼고 행동하게 되기도 합니다.

2. 회피

회피는 트라우마 사건을 연상시키는 것들을 피하려고 노력하는 것으로, 본능적으로 고통을 차단하거나 피함으로써 자신을 보호하려는 시도입니다.

3. 인지와 기분의 변화

트라우마 사건을 경험하면 흔히 생각이나 기분이 부정적으로 변하게 되는데, 이는 사건 이후 발생하는 불편한 반응들로 인해 평소와 달리 통제력을 상실하기 때문입니다. 심하면 일상적인 활동조차 꺼리게 될 수 있습니다.

4. 과각성

과각성은 몸이 항상 경계 상태에 있는 것으로, 작은 것에도 깜짝 놀라거나 지나치게 주위를 살피며, 집중력이 떨어지고 불면증이 생기는 경우도 흔합니다.

 

PTSD 역시 다른 정신질환과 마찬가지로 약물 치료와 정신요법을 적용해 치료할 수 있습니다. 양방에서는 항불안제, 항우울제, 수면제 등의 약물 처방이 이루어지며, 한의원에서는 심리적 안정을 도우면서 신체적 증상의 개선을 돕는 약재들을 활용한 한약과 함께 침이나 약침 치료 등을 병행합니다.

 

정신요법으로는 상담, 인지행동치료, 최면요법, 노출요법 등이 사용되며, 무조건적인 회피보다 적정 수준의 스트레스 반응을 유도하는 것도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물론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안정된 환경에서 가족과 주변 사람들의 공감 및 정서적 지지이며, 따라서 본인은 물론 주변인들의 PTSD에 대한 이해가 선행되어야 할 것입니다.

 

대한여한의사회에서는 2021년부터 전국성폭력상담소와 연계하여 성폭력 피해자들이 각 지역의 트라우마 교육을 받은 한의원에서 진료를 받을 수 있도록 지원 사업을 하고 있는데, 트라우마 환자분과 가족들은 물론, 그분들을 돕는 사회단체 종사자들도 한의 치료의 효능감과 필요성을 확인하고 있다고 하며, 비단 성폭력뿐만 아니라 각종 트라우마로 고생하고 계시는 분들께 한의 치료가 큰 도움이 되리라 믿습니다.



첨부파일 다운로드

등록자한담한의원

등록일2024-06-24

조회수34

  • 페이스북 공유
  • 트위터 공유
  • Google+ 공유
  • 인쇄하기
 
스팸방지코드 :